유대인은 이스라엘 민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유태인은 무엇일까요? 같은 말인 거 같으면서도 다른 말처럼 느껴지는 유대인과 유태인의 차이점과 뜻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유대인 유태인 뜻
결론부터 말하자면 유대인과 유태인은 같은 뜻입니다. 다른 점은 히브리어와 한자어라는 차이겠죠. 성경이 동양으로 전파되면서 한글 발음대로 유대인을 쓰면 되었으나, 한자를 고집하여 생긴 말이 유태인이 되겠습니다. 유대인은 히브리어를 사용했으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방에서 쓰기도 합니다.
라틴어 유다이우스(Judaeus)와 히브리어 예후디(Yehudi)에서 나왔으며, 예후디는 '감사하는 마음'을 뜻합니다. 그들은 로마제국의 '유다이아(Judaea)주'에서 살았죠. 즉 유대인은 유다이아에 거주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지닌 사람정도로 해석해도 되겠습니다.
유대인 경멸
쥬이쉬(Jewish)는 영어권에서 유대인을 나타내는 말이며, 줄여서 쥬(Jew)라고도 부릅니다. 이는 "가격을 깎아내린다라"는 의미가 있는데, 대부업과 질낮은 업종에 종사하던 유대인을 경멸하고 비하하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유대인 어원
유대인의 시조는 '아브라함'이며, 그의 손자 '야곱'은 '이스라엘'로도 불렸고 지금은 국가 이름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야곱은 열두 명이나 낳았고, 그 중 유다도 있었습니다. 유다의 후손인 다윗과 솔로몬은 이후 이스라엘의 전성기를 이끌었죠. 이즈음 이들을 '유다 사람'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여 "유다 가문이 이끄는 왕의 백성들"이라는 의미로 시작된 게 지금의 유대인이 되었죠.
유대인 역사
전성기를 이끌었던 솔로몬 사후 이스라엘은 남과 북으로 분열되었습니다. 북쪽의 나라를 이스라엘, 남쪽에는 유대국가 불렸는데, 이스라엘이 먼저 망하고 바빌론에게 유다국도 마저 망하게 됩니다. 이후 노예 생활과 땅 없는 설움을 가지고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상공업과 교육에 집중하여 오늘날의 세계를 이끄는 민족 중 하나인 유대인이 되었습니다.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리 앙투아네트 빵 (0) | 2023.05.21 |
---|---|
아킬레우스 파트로클로스 죽음 (0) | 2023.04.11 |
중국 축구 못하는 이유 (1) | 2022.12.23 |
미국의 탄생의 서막 보스턴 차 사건과 독립선언서 (0) | 2022.09.26 |
호조 도키무네, 몽골의 침략을 막다. 일본 신풍 (0) | 2022.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