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사

나폴레옹 프랑스 혁명과 2월 혁명, 오스트리아 헝가리 전쟁

by 유니 히스토리 2022. 5. 10.
반응형

나폴레옹 프랑스 혁명

19세기 중반 헝가리 시민들은 불만에 가득 차 있었습니다. 당시 헝가리는 오스트리아 제국 아래에서 별도의 자치 정부와 의회를 지니며 상당한 자율성을 누리고 있었지만 과거 있었던 일련의 사건들은 헝가리 국민들의 마음을 흔들어놓기 충분했습니다.

 

1815년 나폴레옹과 혁명세력의 패배이후 전제군주제 국가들은 유럽의 시계를 다시 프랑스 혁명 이전으로 되돌리고자 하였지만 한번 심어진 자유주의의 씨앗은 유럽 전역에서 꽃을 피우기 위해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속 헝가리 국민들은 독립보다는 삶에 더욱 영향력을 끼치는 '시민의 권리'확대에 강렬한 열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당시 귀족들은 평민과 달리 세금 면제만이 아니라 독점적인 투표권 또한 가지고 있었고 서유럽에서는 폐지된 농노 제도가 헝가리에서는 버젓이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구시스템적 제도에 불만을 가진 시민들과 특히 지식인들은 정치 개혁과 시민의 권리 증진을 요구하고 나섰고 그에 따라 개혁파 자유주의 세력은 헝가리 의회에서 점차 세력이 커져갔습니다.

프랑스 나폴레옹

 

프랑스 2월 혁명

격변의 시기속 1848년 2월, 프랑스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납니다. 이로 인해 프랑스 국왕은 다시 국외로 도피하였고 프랑스는 공화국을 수립하였습니다. 2월 혁명으로 인해 다시금 혁명은 유럽 전역으로 번져나갔고 오스트리아 제국 또한 이 불길을 피할 수가 없었습니다. 혼돈의 기회를 잘 포착한 헝가리 혁명세력들은 집결하였고 1848년 3월 15일 부다와 페스트에서 개혁의 12가지 조항을 외치는 대규모 시위를 일으켰습니다.

프랑스 2월 혁명

 

오스트리아 헝가리 혁명

오스트리아 수도인 빈을 포함해 전국에서 다양한 민족들이 시위를 일으키자 오스트리아 제국은 이들의 요구를 대거 수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특히나 제국은 자국에서 오스트리아인 다음으로 많은 헝가리인들을 달래고자 혁명세력의 대부분 수용하기에 이릅니다.

 

제국과의 합의를 얻은 혁명세력은 발 빠르게 개혁의 12가지 조항을 기반으로 한 법률을 제정하여 오스트리아 제국이 말을 번복할 수 없도록 6월 곧바로 총선을 열어 총리와 각 부처 장관을 선출하는 행보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리하여 혁명으로 오스트리아 전역이 혼란스러운 정국 속에서 헝가리는 입헌군주제를 실현코자 했던 것입니다.

 

그러나 헝가리 내에서 모든 이들이 혁명을 원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특별히 헝가리는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등 헝가리 내 타민족들의 민족주의 운동을 강력하게 탄압했는데 이로 인해 타민족들은 새로 수립된 헝가리 정부에 상당히 반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오스트리아 제국 또한 어쩔 수 없이 혁명을 인정해준 것이기에 타 지역의 시위만 어느 정도 수습이 된다면 발 빠르게 헝가리 혁명세력들을 박살 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헝가리

 

프란츠 요제프 1세

마침내 1848년 10월 제국군들이 수도인 빈에서 일어난 반정부 세력의 시위들을 모두 진압하여 핵심 주모자들을 대거 처형하는 데 성공하게 됩니다. 오스트리 아내 혁명세력들을 이기자 제국군들의 사기도 상승하였고 이제 눈엣가시인 헝가리 혁명정부를 정리할 준비를 합니다.

 

당시 혁명세력들을 제대로 진압하지 못했던 원인 중 하나가 제국의 황제인 페르디난트의 정신질환 때문이기도 했었는데 많으면 발작을 하루에 20번이나 일으키기도 했었다고 전해집니다. 마침내 12월이 되자 페르디난트 황제가 자리에서 물러나고 혁명을 해결하고자 했던 그의 조카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차기 황제로 등극하면서 다시 한번 혁명 저지에 대한 기세를 끌어모을 수 있었습니다.

 

오스트리아 헝가리 전쟁

그는 곧바로 헝가리 정부의 새 법률을 임의로 폐기시키며 혁명 이전으로 돌려놓고자 노력합니다. 이에 위기를 느낀 헝가리 내에서는 독립을 하자는 급진세력들이 온건세력들을 대거 밀어내고 장악합니다. 결국 1849년 3월 헝가리로 진격하여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 급진 혁명세력과의 전쟁이 시작됩니다.

 

초반에는 헝가리가 우세하였지만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등 헝가리 정부에 저항하던 민족들이 반란과 더불어 러시아의 대규모 군대가 제국군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1849년 8월 13일 혁명세력은 패배하게 됩니다. 이렇게 혁명을 진압한 오스트리아 제국은 헝가리를 대상으로 무자비한 보복이 시작되게 됩니다.

프란츠 요제프 1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