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사29

백제 칠지도 및 침류왕 불교수용 1. 백제 전성기 근초고왕 칠지도와 왜(일본)와의 관계 근초고왕 시기에 제작되어 제후 왕인 왜왕에게 하사한 것으로 보이는 칠지도는 전체 길이가 75cm인 창 모양의 칼로 좌우로 각각 3개씩의 칼날이 가지 모양으로 뻗어 있으며, 61자의 문자가 금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당시 최첨단 과학기술이었으며, 지금 일본에서는 만화나 드라마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무기입니다. 칠지도의 용도는 무기라기보다는 의식용 도구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칠지도는 당시 활발하였던 백제와 왜의 교류를 보여 주는 유물로 1953년 일본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이소노카미 신궁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2. 백제의 불교 전파 백제의 불교는 4세기 말 즉위한 침류왕 때에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가 동진에서 백제로 들여옴으로써 최초로 전래되었.. 2022. 6. 15.
삼국시대 백제 건국 및 전성기 근초고왕 역사 1. 백제의 건국 백제는 기원전 18년 부여와 고구려에서 내려온 이주민과 한강 유역의 토착 세력이 결합하여 성립되었으며, 한강 유역의 위례성(한성)을 도읍지로 하여 건국되었습니다.(도읍지 : 한 나라의 수도) 이는 주몽의 아들 온조가 위례성에 건국하였다고 전해지는 '삼국사기'의 기록과 왕족의 성씨를 부여씨로 하였다는 점, 서울 석촌동의 백제 초기 무덤 양식이 고구려 돌무지무덤 양식과 유사한 점 등을 통해 짐작할 수 있습니다. 2. 백제의 성장배경 백제는 비옥한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농경문화와 철기문화가 발달하였고, 바닷길을 통하여 중국의 선진 문화를 받아들이기에 유리하였습니다. 백제는 이러한 지리적, 문화적 이점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였습니다. 3. 3세기 중엽 고이왕 3세기 중엽 고이왕에 이르러서는 .. 2022. 6. 15.
고구려 전성기 광개토 대왕 최대영토 문자왕 1. 4세기 말 고구려 전성기 광개토 대왕의 영토 확장 4세기 말에 즉위한 광개토 대왕은 소수림왕의 체제 정비를 바탕으로 중국 위. 진 남북조의 혼란기를 틈타 정복 활동을 펼치며 영토를 크게 확장하였습니다. 서북쪽으로는 후연과 거란을 격파하고 동쪽으로는 숙신과 동부여를 굴복시켜 요동 지방을 포함한 만주 남부 지방과 두만강 하류 유역까지 차지하였습니다. 또한, 아신왕이 다스리던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이북 지역을 차지한 광개코 대왕은 신라 내물왕의 요청을 받아들여 신라에 침입한 왜를 물리쳤으며 왜와 우호적인 금관가야를 공격하였습니다. 이는 경주 호우총에서 발견된 호우명 그릇에서 고구려의 신라에 대한 영향력이 확대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광개토 대왕은 광활한 영토 확장의 결과로 만주와 한반도 중부에 걸치.. 2022. 6. 8.
고구려 태조왕부터 위나라 관구검 침략 및 고구려 수도 천도 1. 고구려 1세기 후반 태조왕의 옥저 정복 및 영토확장 1세기 후반 태조왕은 옥저를 정복하여 청천강 유역에 이르는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하였고, 현도군을 공격하여 요동 지역으로 진출을 꾀하였습니다. 2. 고구려 계루부 고씨 왕위 독점 세습(형제 상속) 및 중앙집권 기틀 또한, 계루부 고씨의 왕위 독점 세습(형제 상속)이 이루어지면서 중앙 집권적 고대 국가로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3. 2세기 후반 고국천왕 부자 상속의 왕위 계승으로 왕권 강화 2세기 후반 고국천왕은 부자 상속의 왕위 계승을 확립하여 왕권을 강화하였습니다. 4. 고구려 5부의 변화 부족적 성격의 5부는 이후 행정적 성격의 5부로 정착되었고 5부의 지배자는 중앙 귀족으로 편입되었습니다. 5. 고구려 백성들의 삶과 진대법 고구려의 백성들은 .. 2022. 6.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