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사29

당나라 고구려 침략과 멸망, 안시성 전투, 백제 멸망 [고구려 역사] 수나라와 고구려의 전쟁 및 살수대첩, 그리고 당나라의 건국! 편에 이어서 시작하겠습니다. 당나라의 고구려 침략과 고구려의 멸망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 645년 당 대통 이세민 고구려 침략하다. 645년 당 태종은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 침략에 나섭니다. 수나라 대군도 뚫지 못했던 랴오허강 일대의 요동성과 백암성 등을 쉽게 함락시키며 안시성으로 곧장 진격하였습니다. 2. 안시성 전투 645년 놀랍게도 안시성 전투(645년)에서 성주와 백성들이 단결하여 당의 공격을 막아내자 당군은 본국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당시 안시성에는 고구려군 5천~1만여 명 정도인 반면 당군은 30만에 육박하였는데 실로 기적이라고 불릴 수밖에 없습니다. 중국 대륙을 통일하는데 1등 공신인 당태종 돌궐과 주변 .. 2022. 7. 24.
수나라의 고구려 침공 및 살수대첩, 을지문덕 고대시대에 역사상 유래 없던 대규모 전투가 한반도에서 벌어진 역사를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고대 역사상 유래 없던 대규모 전쟁 수나라와 고구려의 전쟁 및 살수대첩 등 고구려 역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중국 통일 제국 수나라의 등장 6세기 말인 589년 중국에는 통일왕조가 들어섭니다. 바로 거대한 제국 수나라죠. 수나라는 통일 후 곧바로 세력을 확장하며 고구려에게까지 압박을 가하기 시작합니다. 그러자 동서양 통틀어 초거대제국인 수나라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고구려는 북방 유목민족인 돌궐과 연합하였습니다. 한편 백제와 연합하여 신라를 압박하였습니다. 6세기 말 이후의 국제 관계는 고구려, 백제, 왜, 돌궐, 남북세력과 신라 수*당나라가 연합하는 동서 세력으로 나뉘었습니다. *수나라 이후 당나라.. 2022. 7. 24.
백제의 건축과 종교 그리고 왜나라와의 교류 1. 백제 무덤 백제는 시기에 따라 여러 가지 무덤 형태가 존재하였습니다. 한성 시대에는 고구려와 유사한 형식의 돌무지무덤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백제의 건국 세력이 고구려 계통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고분으로는 서울 석촌동 고분이 있습니다. 이후 고구려의 남진 정책에 의해 수도를 옮긴 웅진 시대에는 굴식 돌방무덤이 유행하였습니다. 웅진 도읍기의 왕과 왕족들의 무덤이 이에 속하며, 큰 규모에 비해 화려하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고분으로는 공주 송산리 고분(1~5호분)이 있습니다. 웅진 시대에는 굴식 돌방무덤 이외에도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이 있었는데, 대표적인 고분으로는 공주 송산시 6호분과 무령왕릉이 있습니다. 무령왕릉은 1971년 이미 조사가 완료된 다른 무덤들의 장마.. 2022. 6. 25.
백제의 사회와 문화 오경박사 및 서기편찬 1. 백제의 선진문물 수용 및 문화 백제는 일찍부터 한강유역을 통하여 중국의 선진문물을 빠르게 받아들였습니다. 이렇듯 한강유역을 차지하는 국가가 삼국시대의 주도권 또한 가졌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백제는 고구려와 유사하게 문화적인 기풍이 씩씩하였으며 말타기와 활쏘기를 좋아했습니다. 백제의 지배층은 왕족인 부여 씨와 8성의 귀족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들은 중국의 역사책을 즐겨 읽었고, 관청의 실무에도 뛰어났으며, 투호, 바둑, 장기 등의 오락을 즐겼습니다. 2. 백제의 엄격한 형벌 백제는 형법의 적용이 엄격하여 도둑질한 자는 훔친 물건 값의 2배를 물게 하고 귀양을 보냈으며, 반역한 자나 전쟁에 패한 자 , 살인한 자는 목을 베는 사형에 처하였습니다. 또한, 관리의 뇌물 수수나 공금 횡령 시 3배를 배상하.. 2022. 6.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