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하면 석가모니가 떠오르지 않나요? 석가모니는 누구였으며, 왜 그런 삶과 깨달음을 얻었는지 그리고 석가모니의 명언과 부처와의 차이점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석가모니 인생
석가모니를 알려면 인생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석가모니는 불교의 교조이자 창시자이며, 여러 붓다(부처) 중 하나입니다. 본명은 고타마 싯다르타이며, 고타마가 성씨 싯다르타가 이름이죠. 석가모니는 산스크리트어 '샤카무니'를 음역한 것으로 샤카족(석가)의 성자라는 뜻입니다.
고대 인도의 샤캬 부족의 소왕국 '카필라'의 왕인 정반왕과 마야부인 사이에서 왕자로 태어났으며, 학문과 체력이 매우 뛰어나 스승들이 더 이상 가르칠 게 없다며 일찍이 물러났습니다. 비록 석가모니의 어머니는 일찍이 돌아가셨지만, 매우 뛰어난 재능과 높은 신분으로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죠.
하지만 석가모니에게도 큰 인생의 변환점이 찾아봅니다. 석가모니는 어느날 왕궁 밖으로 나갔는데, 그곳은 왕궁과는 달리 병든 노인들과 가난한 삶, 힘든 노동 그리고 죽음이 늘 옆에 있는 또 다른 세계였습니다. 이를 보고 삶의 덕 없음과 고통을 이해해버린 석가는 큰 고뇌를 하게 됩니다.
인간의 삶이 늙고 병들고 죽는 고통으로 이루어져 있다는것을 인식하고 이를 벗어나고자, 이후 왕세자의 지위를 버리고 출가하여 많은 수행 끝에 '감정이라는 악마'의 유혹을 견뎌내고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습니다. 이후 인도 북부를 중심으로 가르침을 펼치고 많은 이들을 교화하다가 마지막 제자인 쑤밧다를 교화하고 80세의 나이로 열반에 들었죠.
불교의 전파
불교의 전파과정은 이렇습니다. 그리스도교의 창시자인 예수의 가르침이 현대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지역에서부터 시작되어 그리스, 로마를 거쳐 서구 전역으로 전파되어 오늘날 전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 것처럼, 석가모니 부처의 가르침은 네팔과 인도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전 세계로 퍼져나갑니다. 크게 대승불교와 부파불교로 종파가 나뉘었고 각국의 역사와 문화에 오늘날까지 지대한 영향을 남기고 있죠.
대한민국의 경우 삼국시대 고대국가들이 중앙집권화에 성공하기 위해 종교적 구심점으로 이용되었으며 한반도를 거쳐 일본으로 불교가 전파되기도 하였습니다. 중세시대 고려에서는 외국의 침략을 막는 정신적 구심점으로 이용하였습니다.
석가모니의 사상
석가모니의 사상의 위대함은 인류가 혹독한 삶으로 고통받는 근본 원인을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한것입니다. 그 가르침은 불경이며, 이는 후대에 그를 따른 수많은 이들에 의해 정립되고 확장되었죠. 신성, 위엄, 절대의 모습보단, 신통력을 내보이지 말고 수행에 정진하라는 인간적인 면모가 보입니다.
석가모니 명언
석가모니는 이런 명언을 남겼습니다. "첫째는 진실이고, 둘째는 이익이다." 이는 진실이거나 혹은 이익이 되는 말이면 말을 하라는 것이 아니라 말을 하기 전에 그 말이 진실인지를 확인하고 그 후에 이익이 되는지까지 살펴보고 말을 해야 한다는 거죠.
먼저 진실을 말해야 한다는 것에는 우리 모두 동의하며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거짓은 말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말하면 안 되는 것이죠. 하지만 진실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말하는 화자와 듣는 청자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면 말하는 것이 좋지만 둘 둥 1명 혹은 둘 다에게 이득이 되지 않는다면 말을 삼가하 한다는 뜻입니다.
여담으로 한 친구가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든가 거짓말을 한다는 단점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친한 친구로서 더 나은 관계가 되길 바래서 말을 하고자 할 때, A라는 사람은 본인의 단점을 말해주는 것을 처음에는 기분 나빠도 결국에는 고마워하고 고치려 합니다. 하지만 B라는 사람은 부정적인 얘기를 한 것 자체에 기분이 나빠서 관계를 그르치게 될 수도 있죠.
석가모니는 다음과 같은 말들을 남겼습니다. "오늘의 우리는 과거의 우리가 생각한 모습이다. 인간은 생각한 대로 이루어진다", "나는 어떤 행동에도 변하지 않고 닥쳐오는 운명의 존재를 믿지 않는다. 그러나 행동하지 않는 사람에게 닥쳐오는 운명은 믿는다", "나 아닌 누구도 자신을 구원할 수 없다. 스스로 길을 걸어가야 한다"
부처 차이점
석가모니는 석가족의 성자이며, 고타마 싯달타가 깨달음을 얻은 후의 이름입니다. 부처는 깨달음을 얻은 분을 뜻하며, 깨달음을 얻는다면 모든 이가 부처가 될 수 있으니 이부분이 부처의 차이점이 되겠습니다.
'인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완용 후손 (0) | 2023.02.17 |
---|---|
척준경 소드마스터 (0) | 2023.01.04 |
페이커 연봉 군대 mbti 재산 뜻 (0) | 2022.09.30 |
충무공 이순신 사망과 관련한 의문점, 면사첩 논란, 해상 저격 논란, 이순신 생존설 (0) | 2022.07.31 |
야인시대로 유명한 조선의 주먹 김두한 (0) | 2022.05.30 |
댓글